 
                             
                             작가는 삶에서 찾아오는 인과관계와 희노애락의 감정을 꽃의 형상으로 작품을 제작한다. 꽃이라는 매개를 화면 안에 들어내지만 추상화의 기법과 유사한 형식적 태도로서, 우연적인 요소가 극대화 되는 드리핑 기법과, 자유로운 드로잉식 터치로 작품을 형상화한다. 전반적으로 작품은 불투명한 색감의 적절한 대비와 작가의 제스쳐가 고스란히 드러나는 회화적 흔적들을 통해 구상과 추상 경계 사이를 이동한다. 이는 관객에게 감상의 즐거움을 전달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예술이 지닌 무한한 가능성을 나타내는 것과 같다.
written by ARTISTY, ⓒ ARTISTY Inc.
2022 홍익대학교 미술학과 동양화전공 박사과정 재학
No description y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