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STY
김유신
ARTISTY Certified Artist
95
likes
15
artworks
0
sold
색채는 감상자와 광원 등 여러 가지 요인들과 상호작용을 통해 유동적으로 인지되기 때문에, 고정되어있는 결과를 관찰할 수 없는 특성을 나타낸다. 이러한 특성을 활용하여 색채를 중심으로 화면을 구성하여 색채의 상대적인 관계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의류나 실내장식, 건축물 등 대중적인 생활양식에서 소비되는 색채의 조합 중에 고급스럽거나 세련되어 보인다고 인지되어 대중의 선택을 더 많이 받는 색채와 그렇지 않은 색채가 있음을 포착했고, 대중들의 선호도에 비례하여 색채의 우열 관계가 존재할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유동적으로 인지되는 색채의 특성을 통해 조화롭고 균형 있는 화면을 구성하여 색의 관계는 상대적이며 지극히 주관적일 뿐 부동적인 진리가 아니라는 사실을 화면에 내포하여 색채의 우열 관계에 대한 연관성이 없음을 드러내고자 한다.

 색채의 특성을 통해 발언하고자 했던 작업이기에 색채에 집중할 수 있는 색면추상의 형식으로 표현이 되며, 비교에 용이하고 조합 및 배치가 자유로울 수 있게 경계가 뚜렷한 다각형의 색ㆍ면으로 화면이 구성된다.

 요셉 알버스의 ‘색채의 상호작용’에 “색은 다른 어떤 색과도 그 면적이 적절하기만 하다면 어울린다는 믿음이다.”라는 문장을 작업의 모티브로 삼았다.
색상, 명도 채도의 변화와 대비로 인해 통일감이 느껴지지 않아 조화롭지 못하다고 느껴지는 색의 조합일지라도 면적과 모양, 다른 작품과 함께 전시됐을 때의 상황 등을 고려하며 색들을 배치하여 조화를 깨는 것이 아니라, 단조로움을 깨어 통일감에서 오는 권태감을 해소하여 시각적인 개운함으로 환기를 일으킬 수 있는 화면을 구성한다.

 위와 같은 색채의 조합으로 인해, 조화롭지 않은 색채의 조합이라는 명제를 반박하고 색채의 상대적인 특성을 고려하여 배치하면 모두 어울릴 수 있다는 가능성을 드러내고자 한다.

 색채의 우열 관계가 존재하는지에 대한 호기심으로 시작했던 이 색채의 궤적들은 결국 우열을 가릴 수 없다는 증거로써 상대적인 상황을 색채의 불협화음으로 인지하는 것이 아닌 다름을 인정하는 태도로 연장된다.

 내 작업을 통해 색채는 나에게 우열을 가릴 수 없는 대상으로 다가왔고 상대적인 관계에 놓인 색들의 조합을 통해, 색채는 우열의 대상이 아니었음을 인지하게 되어 틀림보다 다름을 이야기할 수 있는 상대성에 대한 인정의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한다.

 색채는 감상자와 광원 등 여러 가지 요인들에 의해 상호작용을 하며 유동적으로 인지되는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고정된 결과를 비교하며 우열을 가리는 우열 관계가 성립되기 어렵다고 보인다. 
인간관계에서도 이러한 색채의 관계성과 연관이 지어질 수 있다고 생각한다. 사람 또한 타인과 상호작용을 한다. 사람과 사람 사이에는 각자의 입장, 살아온 환경, 배경지식 등 다양한 요인들로 인해 서로의 차이를 발견한다. 그 차이를 대처하는 과정에서 차이를 틀림으로 인지한다면 갈등을 초래할 가능성이 커지겠지만, 다름으로 인지하여 서로의 상대성을 인정할 수 있다면 갈등은 좀 더 원만한 타협점을 찾아갈 수 있고 보다 조화로운 관계를 만들어갈 수 있을지도 모른다는 희망을 품는다.
개인전
ㆍ  2025 incongruous colors, 갤러리 재재, 서울
ㆍ  2022 Each color, Each life, 갤러리H, 서울
ㆍ  2022 빨간색은 파란색을 부러워하지 않는다, 사이아트 스페이스, 서울 

단체전
ㆍ  2025 천태만상전, 갤러리 아인, 경기
ㆍ  2025 청년미술상점, 예술의전당 한가람미술관, 서울
ㆍ  2025 three palettes, 고위드 갤러리, 경기
ㆍ  2025 꿈과 마주치다전, 갤러리 일호, 서울
ㆍ  2025 the first step:2025, 벨라한 갤러리, 서울 
ㆍ  2025 진릿값, anc 갤러리, 서울 
ㆍ  2024 연말 동시 다발전, 프로젝트 스페이스 가제, 서울 
ㆍ  2024 처음아트마켓, space22, 서울
ㆍ  2024 together, An갤러리, 경기
ㆍ  2024 한강아트페스타, 성수스텔라, 서울
ㆍ  2024 삶의 색을 그리다:감정의 色, 이지갤러리, 경기
ㆍ  2024 푸른봄날전, 비움갤러리, 서울
ㆍ  2024 제 2회 구구이즘전, 구구갤러리(인사동점, 목동점), 서울
ㆍ  2024 united project art, 유나이티드 갤러리, 서울
ㆍ  2023 꿍꿍이 4인전, 앤드뉴 갤러리, 서울
ㆍ  2023 united project art, 유나이티드 갤러리, 서울
ㆍ  2022 제5회 New Thinking, New Art 신진작가공모전, 갤러리바이올렛, 서울
ㆍ  2022 End, And hello 2022, 앤드뉴갤러리, 서울
ㆍ  2021 청년터전(展) 온라인전시회 제 5회 진솔(眞率) 그리고 정담(情談),
           고색뉴지엄, 경기
ㆍ  2021 Restart, 갤러리H, 서울
ㆍ  2020 달달한 문화 전시회, 갤러리 원뜰, 경기 
ㆍ  2020 도시. 농촌을 잇는 사유의 여정전, 동탄 유휴공간(장지천 6길 29), 경기
ㆍ  2020 그리고, 새로운 단체전, 57th갤러리, 서울
ㆍ  2020 어반 커뮤니티 초대전, 대안공간 어반커뮤니티, 경기
ㆍ  2020 제7회 애경 공모전 love & respect, AK갤러리, 경기
ㆍ  2020 제3회 전국 미대. 대학원 졸업전시전, 에코락 갤러리, 서울
ㆍ  2020 모월모일  초대전, 대안공간 모월모일, 경기
ㆍ  2020 포스트 아방가르드 인 코리아, 갤러리 가이아, 서울
ㆍ  2019 인천광역시 미술전람회 입상자 전시, 인천예술회관, 인천
ㆍ  2018 관악현대미술대전 입상자 전시, 평촌아트홀, 경기

아트페어
ㆍ2025 화랑미술제 in 수원, 수우너컨벤션센터, 경기
ㆍ 2025 문래아트페어, 아트필드 갤러리, 서울
ㆍ 2025 청년미술상점 아트페어, 예술의전당, 서울
ㆍ 2025 브리즈 아트페어, 예술의전당, 서울
ㆍ 2025 Korea expo Osaka 2025, INTEX Osaka, 일본-오사카
ㆍ  2024 수문장 아트페어, 111cm, 경기
ㆍ  2024 아트경남, 그랜드 머큐어 앰배서더 창원, 창원
ㆍ  2024 화랑미술제 in 수원, 수원컨벤션센터, 경기
ㆍ  2024 서울아트페어, SETEC, 서울
ㆍ  2024 브리즈 아트페어, 예술의 전당, 서울
ㆍ  2023 아트 페어플레이, ddp, 서울
ㆍ  2023 화성 메세나 아트페어, 동탄아트스페이스, 경기 
ㆍ  2023 안산국제아트쇼, 안산문화예술의전당, 경기
ㆍ  2022 수문장 아트페어, 수원시 팔달구 신풍로 39번길 15, 경기
ㆍ  2021 NFT 비긴즈 아트페어, 사이아트센터, 서울

수상

ㆍ  2019 인천광역시 미술전람회 특선
ㆍ  2018 관악현대미술대전 입선
준비중입니다.
김유신
Acrylic on Canvas, 2025
22 x 27.3 cm
₩240,000
김유신
Acrylic on Canvas, 2024
45.5 x 53 cm
₩800,000
김유신
Acrylic on Canvas, 2024
45.5 x 53 cm
₩800,000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