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RMADISE ‘염원의쉼터, 상실의늪에서피어난회화’
누구나 감추고 싶은 내면의 생채기, 삶과 죽음속 관계의 이별, 그리고 잃어버린 신념을 되찾기 위한 보호와 염원의 마음을 담아 쉼터를 만들게 되었다. 마음을 쏟은 대상과의 관계에서 분리감을 경험할 때, 혹은 일상의 크고 작은 상실을 통해 공허함이 느껴질 때, 우리는 물리적·정신적 상실감에 매몰되고, 때로는 무언가에 의지하고 싶어진다. 그리고상상하거나말한대로이루어지기를간절히바라게된다. 나는 이러한 심리적 상실감에 대한 대안적인 방안을 미술이라는 은유적 표현을 통해 탐구한다. 샤먼 의식처럼, 수집된 드로잉과 꿈의연상 이미지를 조합하여 백일몽같은 이상적 회화의 늪을 만들고, 그 안에서 상징을 나타낸다. 내면의 보호막을 담은 상상 속 쉼터를 통해, 사랑을 잃음으로써 겪은 아픔을 예술의 주술적 힘으로 치유하고, 긍정적인 희망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개념을 바탕으로, 나는‘Karmadise(카르마다이스)’ 라는용어를만들었다. Karma(행위와결과의법칙)와Paradise(이상적이거나행복한상태)를 결합한 카르마다이스는, 좋은 카르마와 긍정성을 통해 조화롭고 이상적인 상태에 이르는 과정을 의미한다. "Karmadise" 는 염원의 휴식처 이자, 긍정적인 카르마를 쌓아가며 극복해 나가는 삶의 여정을 담고있다. 다른이의 고통을 덜어주고자 하는 자비(慈悲), 기쁨을 함께 나누고 집착을 내려놓는 희사(喜捨), 그리고 차별없이 평등하게 바라보는 평정(平等)의 마음을 통해, 우리는 긍정적인 카르마를 쌓으며 윤회의 고통에서 벗어나 해탈로 나아간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내면을 되돌아보고, 마음의 치유와 회복의 에너지를 되찾으며 염원의 의미를 더해간다. 작품 속 누에의 보호막처럼 엉켜진 실은 어린시절 돌아가신 아버지와의 기억에서 온 상처를 꿰매는 실로서, 치유의 경험에서 비롯되었다. 중첩된 붓질과 겹쳐진 실들은 쌓여진 기억의 보관이자 수행의 과정을 나타낸다. 이는 불안을 방어하는 무의식적 기제로서, 환영의 공간에해소의 상징물로 등장한다. 나는 정신분석가 디디에 앙지외(Didier Anzieu)의 ‘심리적싸개’ 개념을 인용하여, 피부처럼 감싸는 자아 내면의 보호막을 의도했다. 치유의 실타래로 탄생한 나의 기억의 소재는 주술적 상징들과 결합되며, 과거로 부터 전해지는 믿음의 형태가 지닌 힘을 시각적으로 구현한다. 동서양의 주술적 상징이 혼합 되어 알레고리를 나타내며 한국 전통의 강강술래, 서양의 연금술, 지역의 보호수, 해방과 자유, 돌담 쌓기, 쥐불놀이 등 과거로 부터 믿음의 형태들로 자유를 갈망하는 해방의 영혼의 신체와 작가의 기억에서 온 소재인 치유의 실타래와 결합되어 나타냈다. 캔버스는 회화의거름망과 같은 존재로, 작품 속 세계를 경험하고 나왔을 때 부정적인 감정이 걸러지고 일상이 회복되기를 바라는 마음을 담고있다. 이러한 염원의 의미 속에서, 캔버스는 마치 성물과 같은 역할을 한다. 작업 과정에서는 주로 유화와 형광안료를 활용하여 조명 아래에서 작품이 발광하도록 연출했다. 이를 통해 어둠 속에서도 빛을 내는 시각적 파라다이스를 표현하고자 했다. 인간이 소중히 여기는 것을 잃음으로 경험하는 과정은 추억과 그리움, 사랑, 미움의 감정으로 기록된다. 상실은 때때로 현재의 삶에 집중하기 어렵게 만들기에 이에 대처하는 다양한 방법들은 공기 중에는 보이지 않는 힘을 믿는 문화와 연결되어있다. 동양의 ’액땜하다‘, ‘오마모리(お守り)’ 서양의 거미 형상여인의 원주민 부족 ‘보살핌’ 에 대한 내용처럼 보호와 상징에 대한 믿음은 인간의 내면에서 비롯된다. 내게 있어 상상 속 자연과 예술은, 격리된 어두운 세상 속에서 한줄기 빛과도 같은 존재였다.
인스타그램(@artist_leeyuji)
인스타그램 2 (@leeyuji_artportfolio)
학력
2016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미술학과 회화전공 석사 졸업
2014 수원대학교 조형예술학부 서양화과 학사 졸업
개인전
2025 바램이 머물다 다시 일어서는 곳, 아트보다갤러리, 서울
2025 카르마다이스, 강화 전등사 무설전 서운갤러리, 인천
2024 염원의 파티, 더 스퀘어즈 갤러리, 서울
2024 몽상가의 파라다이스, 은평문화재단, 서울
2017 심연의 풍경, 사이아트도큐먼트, 서울
단체전
2025 놓는 법 씨뮤즈 프로젝트, 스페이스 아텔, 서울
2024 작은 미술관 2인전, 수원문화재단, 스타필드 작은미술관, 수원
2024 춘천 아트섬 한국과 인도, 춘천문화재단, 남이섬 평화랑 갤러리, 춘천
2024 수문장 아트페어 PART 2, 수원문화재단, 111CM, 수원
2024 아트레코드 청주, 충북문화재단, 문화제조창, 청주
2024 YOUTH, 화이트스톤갤러리, 서울
2024 수문장 O! 화랑미술제 IN 수원, 수원문화재단, 수원컨벤션센터, 수원
2024 제주 국제 아트페어, 제주컨벤션센터, 제주
2024 Weekly K-Auction, 케이 옥션, 서울
2024 빛과 어둠 2인전, 아트보다 갤러리, 서울
2023 갤러리 시선 2인전, 서울대 명예교수 김정희기획, gs시선, 서울
2022 백일몽 : 한낮에 꾼 꿈 3인전 , 앵포르멜 성수, 서울
2022 청기일전 제주 청년의 날, 제주특별자치도청 1청사본관, 제주
2021 관인문화마을, 관인(구)농협비료창고, 문화체육관광부, 관인문화재생연구회, 포천
2021 모두에게 멋진날들, 서울시민대학, 서울
2021 을지 아트페어 프라이즈, 중구문화재단, 을지트윈타워, 서울
2020 을지 아트페어 프라이즈, 중구문화재단, 을지트윈타워, 서울
2020 A1 신진 청년작가, 금보성 아트센터, 서울
2019 한성백제 송파미술제, 예송미술관, 서울
2019 너트 선정작가 특별전, 너트갤러리, 서울
2018 모두로부터 여기까지, 3인전, 이주희 기획, 아트스페이스엣, 서울
2018 아시아프 1부, 동대문DDP, 서울
2018 서대문 여관 아트페어, 서대문여관, 7pictu re 주관 , 서울
2018 제3회 A1신진작가, 금보성아트센터, 서울
2017 생애 첫 소장 경험, 에코락갤러리, 서울
2017 아시아프 2부, 동대문DDP, 서울
2017 1st Track 치유 2인전, 서정아트센터, 서울
2016 미래의 시선, 서정아트센터, 서울
2016 제5회 스필플라츠한 2인전, 스필플라츠한갤러리, 서울
2016 아시아프 2부, 동대문DDP, 서울
2015 GIAF 광화문아트페스티벌, 세종미술관, 서울
2015 불안 마주하기 석사학위 청구전, 국민아트갤러리, 서울
2015 Exchange Stroke Painting, 쾌연재 미술관, 강원
2014 새벽현상, 평창동 연우갤러리, 서울
2014 아시아프 2부, 구 서울역, 서울
2013 움展 수원대학교 서양화과 졸업전시, 이즈갤러리, 서울
수상
2024 내일의 작가 겸재 정선 공모 선정, 우수상, 겸재 정선 미술관, 서울
2024 JDC 제주미술대전, 장려상, 제주화랑협회, 제주국제도시자유계발센터, 제주
2022 제4회 서울로 미디어 캔버스, 평면수상, 서울로미디어캔버스, 만리동광장,서울
2020 아트프라이즈 강남, 우수상, 아트프라이즈강남, 강남문화재단, 서울
2016 여름생색展 가송예술상 공모 선정, 콜라보레이션 부문, 공아트스페이스,서울
2016 제1회 서리풀 ART for ART, 특선, 유중아트센터, 서울
2015 제14회 한성백제미술대상전, 특선, 예송미술관, 서울
2015 제12회 한성백제미술대상전, 특선, 예송미술관, 서울
2013 제15회 단원미술제, 특선, 단원미술관, 서울
아트페어
2025 화랑미술제 수원, 수원문화재단, 수원컨벤션센터, 경기
2025 Bank 아트페어, 아트보다, 페어몬트호텔, 서울
2024 화랑미술제 수원, 수원문화재단, 수원컨벤션센터, 경기
소장
2024 겸재 정선 미술관 「습지에 피어난 자아, 심연의 꽃」 소장
2020 서울 문화 본부 박물관과 「심연의 숲 2」 소장
2016 하나은행 아트뱅크 「붉은 방」 소장
그 외 개인 컬렉터 소장
아티스트 지원 활동 프로그램
2025 삼원 아트 스폰서십 8기 활동, 삼원페이퍼모어, 삼원갤러리, 삼원페이퍼, 서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