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전(Solo Exhibition)
▪ 2023.11 / 비행운(contrail) (project space GAZE, 서울)
▪ 2022.10 / marbling (갤러리 minnim, 서울)
▪ 2021.09 / 자유비행 (project space GAZE, 서울)
▪ 2021.06 / 일호식x아티스티 Collado Exhibition #5 (사운즈 한남_일호식, 서울)
▪ 2021.05 / 꿈과 동심과 찬란한 비상 (갤러리 초연, 서울)
▪ 2021.01 / 동심을 향한 비행 (갤러리 다온, 서울)
▪ 2020.09 / 동심을 찾아서 (갤러리 빈칸, 서울)
그룹전(Group Exhibition)
▪ 2023.12 / Hidden Agenda (project space GAZE, 서울)
▪ 2023.09 / 시간, 기억, 흔적 (project space GAZE, 서울)
▪ 2023.07 / 계속 (갤러리 모스, 서울)
▪ 2022.04 / 전달 (라메르갤러리, 서울)
▪ 2022.02 / 2월 그날은 이상하게도 유난히 따듯했다. (오솔갤러리, 인천)
▪ 2021.12 / 신인전 (착한갤러리, 서울)
▪ 2021.11 / 심연:못 (젊은인사, 서울)
▪ 2021.10 / 사색전시 (마루아트센터, 서울)
▪ 2019.03 / 공간:평면과 입체 (갤러리 아지트, 서울)
▪ 2017.09 / My Fantasia (용산 CGV, 서울)
▪ 2016.01 / SCOUT (갤러리 이마주, 서울)
▪ 2015.12 / 앙큼한양 (갤러리 자인제노, 서울)
아트 페어(Art Fair)
▪ 2023.08 / 아투어리 art 트레비어 (트레비어, 울산)
▪ 2022.03 / The Collection (더현대서울, 여의도)
▪ 2020.07 / 아시아프2020 (홍익대학교 현대미술관, 서울)
레지던시(Residency)
▪ 2024.03~2024.06 / ARTISTY RESIDENCY with SHILLA STAY (신라스테이, 구로)
어린 시절의 순수함을 찾는‘동심을 찾아서’연작을 시작으로, ‘동심 비행’과 ‘흔적’ 연작을 통해 동심은 보이지 않지만 흔적으로 남아 사라지지 않았음을 이야기했다. 그림을 그리는 과정은 삶을 살아가는 모습과 같다는 생각으로 작업을 이어가고 있다. 어린 시절부터 그려온 그림과 앞으로 그려갈 그림은 겹겹이 쌓여간다. 이것을 시각매체로 표현하기 위해 지난 기억을 복기하는 행위는 마치 비바리움의 유리병 속을 들여다보는 것 같다. 이 여정은 스스로를 채우고 가꾸는 행위이자, 내 영혼의 생태계을 만드는 과정이다. 앞으로의 그림이 내 영혼을 이루는 작은 정원을 단단하고 풍요롭게 꾸려가길 바란다.
<동심 비행>
어린아이의 손에 쥐어진 색연필의 움직임은 불안과 주저함이 없다. 무력해진 마음은 오랜 기억 속 ‘동심’을 그리워했다. 종이에 그림을 그리던 아이의 모습이 떠올랐다. 기억 속 아른거리는 어린 마음이 살아 움직이길 바라는 마음으로 색연필을 멀리 띄워 날린다. 그 기억이 이정표가 되어 색연필은 동심을 찾아서 비행하였다. 오랜 기억으로부터 거슬러왔다. 다시, 지금의 내 모습이 보인다. 곧이어 동심은 보이지 않지만, 지나온 것들은 흔적으로 온전히 남아있음을 깨달았다. 어렸던 시간과 낙서가 쌓여 오늘의 그림을 만들어왔다. 작은 손에 쥐어진 색연필로 시작된 낙서는 여전히 이어지고 있다.
-
내 직업환경의 변화와 새로운 경험은 작업에도 많은 변화를 주었다. 기존의 작업은 확장되었고 또 다른 이야기인 '완벽한 자연물' 시리즈를 만들어냈다.
2020년쯤 꽃집에서 소일거리를 돕기 시작했고 꽃과 식물을 접하는 일이 많아졌다. 작은 생물들을 다루며 어느 순간부터 자연물을 이해하게 되었다. 또한, 생물을 대하는 사람들의 가치관과 충돌하는 경험이 많아졌다. 자연의 특성을 싫어하지만 자연을 사랑하는 사람들의 이중성을 보았다. 그로 인해 자연과 인공물 사이에서 벌어지는 사람들의 욕망을 표현하는‘완벽한 자연물’을 그리기 시작했다.
<완벽한 자연물>
완벽한 자연물은 시들지 않고 늙지 않는다. 병들지 않으며 해충이 꼬이지도 않는다. 그러한 자연이 존재할 수 있을까? 생물의 특성을 이해하지 않고 인위적인 완벽함을 추구할수록 자연스러움을 불편한 것으로 여긴다. 그렇기에 자연을 대체한 인공물들이 자연물의 형상을 흉내 내고 있다. 관리가 필요 없는 인공 잔디 그리고 꽃과 나무를 흉내 내는 조화들은 우리의 생활 터전 안에서 곳곳에 자리하고 있다.
많은 사람들이 ‘도시’라는 인간이 건설한 인공 자연 속에서 살아간다. 삶 속에서 자연과 멀어질수록 자연의 특성을 경험하고 이해하지 못한다. 나는 오랜 시간 생물을 판매하는 꽃집에서 근무하며, 자연물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과 충돌하는 경험을 겪었다. 꽃잎 속에 숨어있는 애벌레를 발견하고 불쾌감을 드러내는 사람들. 그리고 식물 잎사귀에 붙은 거미를 발견하고 거부감을 드러내는 사람들. 곧 시들어 버릴 꽃을 가치 없는 것으로 여기는 사람들이 있었다.
꽃과 식물을 가까이하면 벌, 나비, 진딧물 등 다양한 곤충이 모여든다. 다수의 사람들은 자연을 가까이 하기를 원하지만, 생물이기에 받아들여야 하는 불편함은 낯설어한다. 그들은 시드는 것, 벌레가 공존하는 것을 용납하지 못한다. 그렇기에 누군가는 가짜 꽃인 조화를 선택한다. 그러나 조화는 꽃의 향기와 생명력을 품을 수 없기에, 차선일 뿐 만족하지 못한다. 그들은 시들지 않는 완벽한 자연물을 꿈꾼다.
나는 그것을 비판하거나 동조하려는 것이 아니며, 자연과 인공물 사이에서 벌어지는 사람들의 욕망을 드러내고자 한다. 자연을 향한 인간의 갈망은, 자연을 흉내 내는 인공물로 형상을 드러낸다. 반영구적이며 시들거나 썩지 않는다. 매끈한 재질에 단단하며, 플라스틱 혹은 세라믹같이 보인다. 이것은 인공물이 흉내 내는 완벽한 자연물이지만, 그 어떤 생물보다도 인위적인 모습으로 존재한다.